반응형

밈 주식이란 과연 정확히 무엇일까요?

 

오늘은 큰 트렌드를 형성해가고 있는 밈 주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잘 아시는것처럼 요즘 밈주식의 열풍이 갈수록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어제는 생소한 덴마크 바이오테크 회사의 주가가 미국증에서 무려 1400%가 폭등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전문가들 조차 왜 이 생소한 회사의 죽가가 이리도 미친 상승을 했는지 파악을 못하고 있다가 결국 밝혀졌는데  미국 개미(개인투자자)들이 이 주식을 집중매수한 것입니다

 

 

미국의 개미들은 미국의 유명 증권토론방인 레딧의 월스트리트베츠(wallstreetbets)에 모여 이 주식을 매수할 것을 작당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듯 이제 밈 주식은 단순히 개미투자자들의 투자추천방이 아니라 당당히 개미투자자들이 직접 주식시장을 선도해 나가는 큰 트렌드를 형성해 가고 있습니다.

 

 

■ 밈주식이란?

 

 

밈주식이란 온라인상에서 입소문을 타면서 개인투자자의 주목을 끄는 주식을 가리키는 주식의 신조어라고 볼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인 레딧(Reddit)에 개설된 주식 토론방에서 공매도에 반발하는 개인투자자들이 기관에 대응해 집중 매수하는 종목이 나타난 것이 그 시작이며 유래입니다. 이들은 종목과 관련된 재미있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공유했고, 이는 다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으로 해당종목에 대한 관심을 확산시키며 해당 종목에 대한 매수를 급증시켰습니다. 
 
‘밈 주식’에서 '밈(Meme)'은 영국의 저명한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가 1976년에 펴낸 《이기적인 유전자》라는 책에서 등장한 말로, 유전적 방법이 아닌 모방을 통해 습득되는 문화요소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대중문화계에서는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특정 문화요소를 모방 혹은 재가공한 콘텐츠를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편, 주식시장 외에도 코인시장에서도 '밈코인'이 등장하기도 했는데, 2013년 온라인에서 유행하던 일본 시바견 밈을 바탕으로 만든 도지코인을 대표적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도지코인은 처음에는 레딧, 트위터 등에서 마음에 드는 콘텐츠를 공유·제작한 이용자에게 팁을 주는 용도로 사용되다가 점차 투기성 코인의 성격으로 변했습니다. 특히 2021년 일론 머스크 미국 테슬라 CEO가 도지코인을 자주 언급하면서 폭등을 거듭해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 밈주식 배경

 

 

밈 주식의 시작은 개인투자자들과 기관의 ‘공매도 전쟁’이 그 시작이라고 볼수있으며, 특히 2021년 1월 공매도에 베팅한 기관과 반발성 집중 매수를 통해 주가를 밀어 올리는 개인이 서로 맞서며 ‘게임스톱 공매도 사태’로 세계적인 큰 이슈가 됐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공매도(空賣渡)’란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으로,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데 사용되는 기법을 말한다. 

 


게임스톱 공매도 사태는 투자자로 유명한 앤드루 레프트 시트론리서치 대표가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비디오게임 업체인 게임스톱(GameStop) 주식을 공매도했다며, 게임스톱은 가치가 없는 회사이며 주가가 폭락할 것이라는 내용의 동영상을 온라인에 게재한 것이 처음 발단이 됐습니다.

 

이에 로빈후드라고 불리는 미국의 개인투자자들은 2021년 1월 20일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의 주식토론방인 월스트리트베츠(WSB)에서 헤지펀드의 공매도 투자를 비난하고, 게임스톱 주식 매수를 결의하며 공매도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이들의 맹공으로 게임스톱의 주가가 급등하자, 이러한 상황을 예상하지 못한 헤지펀드들은 게임스톱 주식에 대한 공매도를 포기하기도 했습니다

 

 

 

■ 밈주식 특징

 

 

밈주식의 가장 큰 특징은 실제 기업가치와 전혀 상관이 없이 개인투자자들의 반발성 매수에 따라 주가가 급등락한다는 것이 특징이라 볼수 있습니다. 즉, 해당 주식이 기업의 실적·신규제품 개발 등에 의해 급락을 거듭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커뮤니티나 소셜미디어상에서 오가는 이야기를 기반으로 거래되는 것이기 째문입니다.

 

이처럼 기업 가치와 상관없는 투자가 이뤄지게 되면 큰 변동속에 짧은기간 커다란 주가 하락을 맞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투자에 앞서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또한 밈주식의 경우 한때 잠시 급등을 보이다가 조만간 관심이 사라지게 되면 다시 본래 가격대로 하락하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 밈주식 종목

대표적인 밈 주식으로는 1)게임 유통업체 ‘게임스톱’  2)영화관 체인 ‘AMC’ 3)주방용품 소매업체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 GME (게임스톱)

 

GME는 미국의 대표적인 오프라인 베이스의 게임 매장 체인점을 보유한 기업으로 지속적인 온라인 게임 시대로의 전환과 다운로드 게임 시장의 확대에 따른 실적악화 등으로 당시 공매도 비율이 무려 20% 이상 증가했습니다. GME는 5월 부터 가격이 다시 큰 편차를 보이며 상승하기 시작했고 6월 11일 주당 233.34달러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올해 초 로빈후드와 공매도 세력간의 불꽃튀는 접전에서 보여줬던 열기에 비해서 현재는 낮아진 물량과 다소 주춤한 상승세인데 아무래도 이미 세력들이 다른 밈 주식들로 많이 이동한것이 주요 원인인듯 합니다. 

 

밑의 그래프를 보면 역시 대표적인 밈주식답게 놀라운 변동성이 특히 눈에 띕니다. 

 

 

-AMC (에이엠씨 엔터테인먼트)

 

AMC는 글로벌 최대 극장체인 기업으로 넷플릭스 등의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들의 등장으로 시장의 마켓쉐어를 빼앗기기 시작하면서 매출이 크게 감소하기 시작했고 설상가상으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매출이 크게 타격을 받았습니다.

 

 

AMC의 매출 급감으로 공매도의 표적이 되면서 공매도 비율은 20% 넘게 증가했고 오히려 이로인한 개인투자자들의 표적이 되어 현재로써는 밈 주식 관련주들의 대장주 역할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5월 말부터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해서 6월 12일 주당 49.70달러로 일주일새 주가는 2배 넘게 상승했고 5월초와 비교하면 무려 5배 가까이 상승한 상황입니다.

 

 

 

 

- BBBY (배드 배스 앤드 비욘드)

 

BBBY는 욕실주방용품 전문소매점 소매 체인기업으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하여 오프라인 소매점들의 매출이 급감하면서 무려 200여개의 지점이 문을 닫게 됩니다. 회사매출이 급감하면서 공매도 비율은 무려 32%까지 증가했고 이로인해 개인투자자들의 밈주식 타킷이 되면서 5월 중순일부터 주가가 상승해서 6월 11일 31.91달러로 장을 마감했는데 주가는 5월 중순 대비 약 34% 상승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