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술값부터 각종 생필품이 줄줄이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사실 충분히 예견된것입니다.

 

초저금리로 돈값이 휴지값이 되어가고 있으니 물가가 가만히 있을까요??.

그동안 엄청나게 풀린 유동성이 주식과 부동산을 달아 오르게 했으니 이제 그 뒷감당을 해야할 시기가 다가오고 있는 것입니다.

 

출처 채널A

초저금리로 돈값이 휴지값이 되어가고 있으니 물가가 가만히 있을까요??.

그동안 주식과 부동산을 달아 오르게 했으니 이제 그 뒷감당을 할 시기가 다가오고 있는 것입니다.

 

기름값도 오르고, 파, 계란값도 오르는데, 이제는 술도 비싸집니다. 

모레부터 막걸리와 맥주 가격이 오른다는 소식에, 소비자와 자영업자 모두 울상입니다. 

 

오랜 시간 서민의 애환을 달래 온 막걸리와 맥주 그러나 모레부터 일제히 가격이 인상됩니다. 주류업체들은 원자재 값 인상과 주세법 개정에 따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얘기합니다. 

 

이에 따라 한 주류업체의 막걸리는 120원, 또다른 업체의 맥주는 페트병 기준으로 10원에서 50원까지 각각 출고가가 인상됩니다. 문제는 출고가보다 더 많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소비자 가격입니다. 


기자: "편의점에서 생막걸리의 소비자가격은 현재 1300원인데요, 모레부터는 300원 올라 1600원에 판매됩니다. 맥주는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가정용 캔맥주 가격은 올리지 않기로 했습니다." 맥주의 경우 업소 판매용 제품들만 1.36%씩 출고가를 올리겠단 거지만, 유통 마진을 고려하면 식당이나 주점에서 파는 주류들은 인상된 출고가의 최대 3배까지 비싸질 수 있습니다. 

 

현재 식당에서 3천~4천 원에 판매되던 막걸리는 무려 1천 원 가량 인상이 예상됩니다. 자영업자, 소비자 모두 울상입니다. 

출처 채널A

자영업자: "4천원씩 받아야죠 막걸리는. (지금 3천원인데?) 올리면 그렇게 받아야죠"  "드시는 분도 감안하셔야 되는거고. 출고가 오르면 저희도 올려야되는거죠. 천원 이상은 올려야겠죠?" 

 

다른 막걸리 업체들도 가격 인상을 검토중이며 막걸리에 따라 1병에 5000원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소비자입장은 안그래도 어려운 살림살이가 더 팍팍해졌다고 호소합니다. 

 

소비자: "술도 줄여야되겠지만 그래도 참… 힘든 생활에 (음주를) 안할 수가 없잖아요. 서민 경제를 잡아주시면 좋은데…" 

 

이에따라 자영업자인 동네마트 주인들과 소비자 단체들은 오늘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필품에 이어 주류 등 잇단 가격 인상에 항의했습니다. 자영업자인 동네 마트들 입장에서는 지금도 코로나19 때문에 힘든데, 손님까지 줄어들면 안 된다는 겁니다.

 

출처 JTBC

동네 마트 운영자들: "코로나로 어려운데! 가격 인상 웬 말이냐! 웬 말이냐, 웬 말이냐, 웬 말이냐!"  항의의 뜻으로 제품을 뜯어서 버리기까지 합니다.

즉석밥부터 국수, 설탕, 고추장까지 올들어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제품 값이 줄줄이 올랐다는 것입니다.

한국마트협회 이사: "갑작스러운 주류, 생필품에 대한 출고가 인상은 자영업자를 두 번 죽이는 칼날이 되고 있다"
제품 값이 뛰면 마트 이익이 늘어나는 게 아니라 손님만 줄어든다고 하소연합니다.

 

출처 JTBC

동네마트 운영자 : "케첩도 마찬가지로 보면 가격대가 지금 좀 많이 올랐습니다. 통조림류도 전체적으로는 많이 올라 있습니다. 참치 캔, 소금, 콩나물 안 오른 제품을 찾기 어려울 정돕니다" "그렇지 않아도 코로나로 어려운 상황에서 제조사에서는 가격을 올리지만 저희가 바로 반영을 못 하잖아요. 고객님들 부담이 많이 되니까. (가격을 바로 못 올리고) 한 달 정도나 두 달 정도까지도 기간을 두는 경향들이 있습니다."

가장 부담이 큰 건 역시 소비자입니다.

소비자: "작년보다 1만원씩 더 나오고 이러니까. 확실히 많이 올랐다고 느껴요. 거기다 코로나 때문에 애들이 집에 많이 있었잖아요. 쌀만 해도 작년에 만약에 20㎏ 먹었다 지금은 40㎏을 먹어야 하니까"

한편 식품업체들은 원재료 값이 뛰어서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동네 마트 운영: "원자재 값이 내려갔을 땐 (제조업체가) 그렇다고 해서 상품 값을 내리진 않잖아요. (원재료 값이 그만큼 오르지 않았는데도) 10%, 20%, 30% 넘게까지 이렇게 인상을 한다는 건 도저히 납득을 할 수가 없는 거죠"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