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쇼백신 (잔여백신) 우선배정 60세 이상 으로 하겠다고 합니다.
6월 4일부터 이른바 ‘노쇼(no-show·예약 불이행)’ 등으로 생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잔여 백신이 60세 이상 고령층에 우선 배정됩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일 브리핑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위탁의료기관 예방접종 시행지침을 개정했다”며 “4일부터 의료기관의 백신 예비 명단은 60세 이상만을 대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방대본은 “상반기(1∼6월) 백신 접종 목표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60세 이상 어르신을 최대한 많이 접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60세 이상은 3일까지는 사전예약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하고 이후 19일까지 하루를 정해 백신 접종 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예약을 못하더라도 19일 이전에 가까운 접종 의료기관을 직접 찾거나 전화를 하면 대기명단 우선권이 있어 접종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백신 예약률이 높아 19일 이후에는 남는 백신이 많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2일 0시 기준 60∼74세의 접종 예약률은 74.9%입니다. 연령대별로는 70∼74세 78.8%, 65∼69세 76.6%, 60∼64세 71.2%로 모든 연령대에서 70%를 넘었습니다.
앞으로 잔여 백신은 고령층에 접종한 뒤에도 남는 경우에만 네이버, 카카오 등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접종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때는 30세 이상이기만 하면 됩니다.
최근 예비군, 민방위 대원들을 대상으로 예약이 끝난 얀센 백신 역시 잔여 물량에 대해 고령층 우선 기준이 적용됩니다.
방역당국 측은 “얀센 백신은 민간 앱을 통한 신청을 받더라도 60세 이상과 기존 대상자인 민방위나 예비군 가운데 미예약자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8∼12주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2차 접종 주기를 일부 앞당기는 것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해외 출장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을 때만 가능하며, 여름휴가 일정 등의 이유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 낀세대 40, 50대의 불만
한편 이에대해 오는 4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AZ) 잔여백신에 대해 정부가 60대 이상에 우선 접종을 하도록 지침을 바꾸면서 '끼인 세대'가 돼 버린 40, 50대가 불만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정부가 '노쇼 백신'에 대해 누구나 맞을 수 있다고 밝혔는데, 2개월여 만에 지침이 바뀌면서 조기 백신 접종이 더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지난 2일 60∼74세 어르신에 대한 접종 사전 예약이 3일 끝나면 그 이후부터는 60세 이상에만 잔여 백신을 배정하는 방향으로 시행 지침을 개정했습니다.
잔여 백신을 맞기 위해 병·의원에 예약 할 때 60세 이상은 예비 명단에 방문·전화 예약이 가능하다. 60세 미만의 경우 앱에 공개된 잔여 백신만 맞을 수 있는데 백신 접종 가능성이 그만큼 줄어버린 것이다.
30대 남성들의 경우 주로 예비군, 민방위 대원에 속해 얀센 접종에 대해 선택권을 줬던 것에 비해 어중간하게 낀세대인 40대, 50대들은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에서 상대적으로 제외돼 있어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군포에 거주하는 A(43)씨는 "가뜩이나 잔여 백신 찾기가 힘들었는데 앞으로는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라며 "40·50대들은 자녀들을 키우면서 사회 생활을 가장 활발하게 하는 세대로 백신 접종이 필요한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수원에서 직장을 다니는 B(48)씨도 "40·50대 중년층 일반인들은 언제 백신을 맞을 지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백신 접종에 있어 '끼인 세대'가 돼 버렸다"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27∼30일까지 네이버·카카오톡 예약으로 잔여 백신을 맞은 9천110명 중 40대와 50대가 83%를 차지하는 등 40·50대가 조기 백신 접종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추진단 관계자는 "코로나19 중증이환율, 사망률이 높은 60세 대상 어르신을 최대한 많이 접종해 보호하는 것이 2분기 최우선 과제"라며 "2분기는 60세 이상 연령층이 최우선으로 타 연령층에 우선 접종 권리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반응형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