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아스트라제네카(AZ)백신접종에 대한 내용입니다,

얼마전 우리나라에서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접종후 뇌혈전 문제로 이슈가 되고 있는데요.

속히 안정을 찾고 백신접종이 하루속히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유럽의약품청(EMA)이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가 개발한 아스트라제네카백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이 혈전 생성 사이에 관련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에따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중단했던 유럽 국가들은 접종을 다시 시작하거나 준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럽의약품청 (EMA)는 18일(현지 시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과 혈전 생성에 관한 예비 검토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EMA 산하 약물안전성관리위원회(PRAC)는 영국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약 2000만명의 접종자 중 혈전이 발생한 사례 7건과 혈전 생성에 관한 과거 연구 자료를 비교했습니다.

 

PRAC는 현재 백신 접종자 수를 보면 인과관계가 있다고 판단할 만큼 혈전 생성 사례가 많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점이 부작용 위험보다 여전히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백신 접종과 혈전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서 추가 조사는 더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PRAC는 "백신과 혈전과의 인과관계가 입증되지 않았지만 가능하면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며 "혈전에 대해 면밀한 감시를 계속하고 더 많은 데이터와 실제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EMA가 이 같은 결론을 내자 당초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금지했던 국가들이 접종을 재개하거나 접종 재개를 준비하고 나섰습니다.

 

 

CNN이 18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프랑스, 이탈리아, 키프로스는 19일(현지시간)부터 접종을 재개하고 스페인은 한 주 뒤인 24일부터 접종을 재개할 계획입니다.

 

EMA의 발표에 따라 국내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계속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에서는 지난 17일 백신 접종 후 사망한 60대 요양병원 환자 가운데 혈전 생성 사례가 처음 발생한데 이어 18일에는 지난 10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20대 남성에게서 혈전 생성 사례가 또 보고됐습니다.

현재 이 환자는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박영준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이상반응조사팀장은 "신고가 접수된 이후 관할 보건기관에서 기초조사를 하고 동일 기관, 동일 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의 이상 반응 유무를 확인했다"며 "현재까지 동일 기관, 동일 백신 접종자 중 유사한 이상 반응 증상자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