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인에게 자주 발생하는 파킨슨병은 단순 노화로 오해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노인에게 평소와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면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주변인들이 도와야 합니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성영희 교수는 최근 '세계파킨슨병의 날'을 맞아 파킨슨병 초기 증상이 단순히 나이가 듦에 따라 행동이 느려지고 보행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착각해 병원 방문이 늦어질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파킨슨병은 노인에게 두 번째로 흔한 만성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입니다. 파킨슨병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의 결핍으로 나타납니다. 도파민은 우리 몸이 정교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물질입니다.
바로 이 도파민이 부족해 몸 동작이 느려지거나, 편안한 자세에서도 떨림이 일어나거나, 근육의 강직, 보행 장애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같은 운동 장애들은 노화에 따른 증상과 유사합니다. 파킨슨병 환자에게 초기 운동 장애가 발견되더라도 이를 단순 고령에 따른 증상으로 치부하기 쉬운 이유가 이때문입니다.
운동 장애 외에도 통증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매우 흔한 비운동증상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어깨나 허리통증으로 치부해 1~2년 간 다른 진료만 받다가 질환이 상당 부분 진행되는 경우도 흔하게 발생합니다.
또 파킨슨병 환자의 정신 장애도 단순 노화로 오인되기 쉽습니다. 파킨슨병 환자에게는 수면장애, 우울증, 불안증이 발생합니다. 그런데 이를 단순히 우울증 같은 정신적인 문제로 치부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파킨슨병 초기 신체의 한쪽 편에서 운동 장애가 발생하는데, 이는 뇌졸중으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파킨슨병 환자가 한방병원 등에서 중풍(뇌졸중) 치료를 받다가 병이 상당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파킨슨병 환자의 70%가 뇌졸중 치료를 받았다는 조사결과도 있습니다.
성영희 교수는 "파킨슨병은 특징적인 임상증상을 보이지만, 초기에는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으로 착각하기 쉬워 초기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국내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환자들이 처음 방문한 의료기관에서 파킨슨병으로 진단된 경우는 16%로 조사됐는데 이중 92%는 신경과 의사에 의해 진단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평소 부모님과 주변 어르신의 증상을 꼼꼼히 살펴보고 의심이 된다면 신경과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파킨슨병은 인구고령화로 급속히 증가해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파킨슨병 진료 환자는 2015년 9만1351명에서 2019년 11만284명으로 5년 만에 약 20%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로 인한 사회적 부담 또한 증가해 파킨슨병 진료비 부담도 2015년 3765억7775만원에서 2019년 5362억2932만원으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성 교수는 "파킨슨병의 치료 목적은 증상을 완화하고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며 "조기에 발견해 적극적인 약물치료, 운동치료를 병행하면서 전문의와 상담하고 전인적인 관리를 해나간다면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파킨슨병은 주요 증상들이 발생하기 10년 전부터 뇌가 퇴화되기 시작하며 이때 전구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파킨슨병 환자들의 주요 증상인 서동(느린 행동), 안정 떨림(팔다리를 편안하게 했을 때 일어나는 떨림), 경직과 같은 운동증상은 중뇌 흑색질 퇴행과 관련있습니다.
이 부위의 퇴화는 증상이 나타나기 이미 10년전부터 시작됩니다.
●무증상에서 생기는 전구증상들 3가지
첫째, 흔히 잠꼬대라고 하는 램수면행동장애가 있습니다.
꿈을 꾸는데 크게 소리를 지르거나 심한 발길질 등이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둘째, 후각 장애입니다.
파킨슨병이 있으면 후각신경이 가장 먼저 손상을 받아 냄새를 잘 못 맡게 됩니다.
셋째, 심한 변비이다.
평소 섭취하는 음식과 무관하게 변비가 자주 발생합니다.
성 교수는 "파킨슨병도 조기에 발견할수록 예후가 좋아진다.이 같은 전구증상이 노인에게 발생했다면 신경과 진료를 받아봐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반응형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