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하지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벌써 올해 하지가 다음주 월요일 6월 21일로 다가왔습니다. 세월 참 빠릅니다. 아직 여름이 본격적으로 찾아오지 않았지만 계절은 벌써 본격적인 여름을 알리고 있습니다.
■ 하지란?
하지는 한해중에서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절기를 말합니다. 24절기중에 하나로 특히 일 년 중에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올해는 양력 6월 21일 이 되겠습니다.
여름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기 때문에 봄과 가을보다 태양이 더 높게 떠 있게되며 이렇듯 태양이 가장 높게 떠 있으므로 일 년 중 그림자는 가장 짧게됩니다. 또한 태양에너지를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날씨는 매우 무덥게 됩니다.
이렇듯 하지는 여름을 알리는 절기라고 할수 있으며 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는 시기입니다.
하지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하지는 24절기 중 열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이며 망종과 소서 사이에 위치합니다. 시기적으로 오월의 중기로 음력으로는 5월, 양력으로는 대개 6월 22일 무렵이 되는데 올해는 6월 21일 입니다.
하짓날에는 일년 중 태양의 적위가 가장 커지는 시기이며 이 무렵 태양은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데, 그 위치를 하지점(夏至點)이라고 합니다.
하지는 지구상의 위치에 따라 영향이 달라지는데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태양의 남중고도(南中高度)가 가장 높아집니다. 그러나 남반구에서는 반대로 하지에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북반구에 위치하므로 서울(북위 37도 30분)에서 태양의 남중고도는 하지 때에는 75도 57분이고, 동지 때 29도 3분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하지날에는 정오때 태양 높이가 가장 높고, 일사 시간과 일사량도 가장 많은 날이됩니다.
동지(冬至)때 가장 길었던 밤 시간이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해서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다가 마침내 이날 하지때 밤시간이 가장 짧아지는 반면, 낮 시간은 일년 중 가장 길어져 하지때 낮시간은 무려 14시간 35분이나 됩니다.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북반구의 지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게되면서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후부터 기온이 본격적으로 상승하여 매우 더워지게 됩니다.
■ 하지 시기 농사
하지때는 장마와 가뭄 대비를 본격적으로 해야 하므로 이때는 일년 중 추수와 더불어 가장 바쁜때입니다. 모네기, 메밀파종, 누에치기, 감자수확, 고추밭매기, 마늘수확 및 건조, 보리수확 및 타작, 병충해 방재 등이 모두 이 시기에 이루어집니다.
남부지방에서는 단오를 전후하여 시작된 모심기가 하지 무렵이면 모두 끝나는데, 이때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됩니다. 따라서 구름만 지나가도 비가 온다는 뜻으로 “하지가 지나면 구름장마다 비가 내린다.”라는 속담이 있을정도 입니다.
하지가 지나면 모심기가 늦어지기 때문에 서둘러 모내기를 해야 합니다. “하지가 지나면 오전에 심은 모와 오후에 심은 모가 다르다.”라는 속담은 여기서 나온 말입니다. 또한 하지에 비가 내리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습니다.
농촌에서는 옛부터 하지가 지날 때까지 비가 내리지 않으면 기우제(祈雨祭)를 지내는데, 우리나라는 예부터 3~4년에 한 번씩 한재(旱災)를 당하였으므로 조정과 민간을 막론하고 기우제가 성행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주로 장마철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므로 그 전후인 하지 무렵까지는 가뭄이 계속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따라서 수리시설이 부족한 때일수록 기우제가 성행했던 것입니다.
■ 하지 음식
하지 때 음식들로는 감자,아욱, 두릅, 도라지, 우렁, 양배추, 부추, 가지 등 무척이나 다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지 땐 특별히 하지를 대표해서 먹을 음식을 두지는 않았으며 다만 일상의 식탁에 올라오는 감자는 보통 하지 감자라 불렀습니다. 특히 하지때 강원도 지역에서는 역시 감자가 유명하므로 파삭파삭한 햇감자를 쪄서 먹던지 감자를 갈아서 감자전을 부쳐 먹었다고 합니다.
혹은 감자를 삭혀서 녹말을 추출하여 송편고와 옹심이를 만들어 먹기도 했으며 어떤 지역에선 시루떡을 해 먹기도 했습니다
또한 하지때 비 오는 날 툇마루에 앉아 완두콩을 까 먹던 풍경은 하지때 볼 수 있던 흔한 광경이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특히 붉은 상추, 쑥갓, 토마토등은 하지를 풍성하게 해 주는 식재료들입니다.
■ 하지 풍속
위에서 언급했듯 하지는 농사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특히 장마를 앞두고 하지때까지 비가오지 않고 가물은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농부들은 1년 농사가 걸려 있기 때문에 간절히 비를 기다려야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생겨난 풍습이 기우제였던 것입니다. 기우제는 입춘 때 다짐했던 결심이 어떻게 지켜지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시간이라 볼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에 비가 내리면 그해 풍년이 든다고 생각했으며 하지가 지나면 밭에 물을 담그고 살았습니다.
이는 논농사는 물농사라 할 만큼 논에 물 대는 것을 중요시 여긴 풍속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하지 시기에는 장마와 함께 물이 많아 오전에 심은 모와 오후에 심은 모가 눈에 보이게 다르다는 말까지 생겨났습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