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도 2분기부터 모더나 백신 접종이 시작될텐데요.

사전에 미리 모더나 백신 접종후에 나오는 이상현상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을듯 합니다.

 

오는 2분기부터 모더나 백신(총 2000만명분)이 국내에 들어올 예정인 가운데, 해외에서 모더나를 맞은 일부는 팔에 빨갛게 발진이 올라오는 ‘붉은 팔’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이런 '붉은 팔' 현상은 두려워할 필요가 없으며 면역 체계가 제대로 일하고 있다는 증거라는 주장도 함께 발표됐습니다.

 

출처 중앙일보 제공 뉴잉글랜드 저널오브메디신 트위터

 

최근 영국 데일리메일과 미국 ABC방송 등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백신 가운데 모더나 백신이 유일하게 붉은 반점 이상 반응을 보인다고 보고됐습니다.

 

접종 부위인 팔에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현상은 서구에서는 ‘코비드 팔(COVID Arm)’ 혹은 '모더나 팔(Moderna Arm)'로 불리며 해외 접종자들의 인증사진이 SNS에 퍼지고 있습니다.

 

출처 데일이포스트

 

붉은 팔 반응이 나타난 접종자들은 해당 부위가 붓고 간지럽다고 느낍니다.

피부 안쪽에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두드러기가 올라오기도 하며 심할 경우엔 만지면 통증도 느끼지만 전문가들은 얼음찜질과 타이레놀 복용으로 상태가 며칠 안에 호전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데일이포스트 제공 뉴잉을랜드 저널오브메디슨

 

데일리메일은 "붉은 팔 반응을 겪었던 사람들의 증상은 수일 내로 호전됐다"고 전했습니다.

백신 접종 후 접종 부위에 나타나는 붉은 반점은 파상풍이나 수두 백신 접종자들도 겪는 이상 반응입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주립 의학·생명과학 특화대학인 UCSF 대학의 감염병 전문 교수인 피터 친 홍은 모더나 접종자의 붉은 팔 증상은 걱정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축하해야 할 반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출처 중앙일보 제공 ABC7뉴스캡처

 

그는 모더나 백신 접종을 신병 훈련소에서 이뤄지는 전투 훈련에 비유했는데요.

1차 접종 시에는 면역 세포가 훈련받지 않은 상태라서 ‘전투 군인 세포’는 백신 접종을 통한 '훈련'에 흥분 상태가 되며 이런 신병 세포의 흥분 상태가 붉은 팔 현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1차 접종을 거친 '신병'은 실제 코로나에 감염되었을 때도 전투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거듭나게 됩니다. 2차 접종 시에는 마치 평생 훈련해 온 것처럼 코로나를 퇴치할 수 있게 된다는 주장입니다.

 

출처 MBC뉴스

 

모더나 접종 후 ‘붉은 팔’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친 홍 교수는 "실제 모더나 임상 시험에서 참여자의 절반은 어떤 부작용도 경험하지 않았다"면서 "붉은 팔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면역 체계가 일하고 있지 않다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부작용이 두려워 백신 접종을 망설이는 이들에게 그는 "백신 접종 후 두통, 붉은 팔 등의 부작용을 겪더라도 백신을 맞고 코로나에 걸리지 않는 것이 훨씬 낫다"며 "코로나에 감염된 뒤 겪는 후유증은 몇 달 혹은 몇 년에 걸쳐 지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