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시총 3위에 오르며 계속해서 시세분출을 하고 있습니다.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라는 증시 격언이 떠오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제약사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CMO)에 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는 관측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4일 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해명 공시에서 모더나 백신을 국내에서 위탁생산한다는 데 대해 "현재 확정된 바 없어 확인이 불가하다"며 "추후 확인이 가능한 시점 또는 1개월 이내에 재공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화이자 백신 위탁생산설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정한 것과 달리 이번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설에 대해서는 뉘앙스가 다르다는 게 바이오업계의 시각입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기대
그동안 업계에서는 모더나가 한국 법인 설립을 추진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에 백신 위탁생산을 맡길 수 있다고 추측해왔습니다. 현재 모더나는 한국 법인에서 근무할 임원급 인사 채용을 진행 중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항체의약품 등 바이오의약품을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삼성바이오 유력설에 힘을 더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간 36만4천 리터(ℓ)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갖춘 글로벌 1위 CMO 기업입니다. 다만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백신을 생산해 본 경험이 없다는 점이 한계로 꼽혔으나, 업계에서는 백신 원액을 공급받아 완제의약품을 만드는 단계부터 진행한다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업계 안팎에서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 간 백신 파트너십을 논의하겠다고 공공연히 알려진 만큼 여기서 구체적인 발표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 전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법정 자문기구인 중앙약사심의위원회에서도 "품목 허가가 가능하다"는 의견을 받아 오는 21일 최종점검위원회를 앞두고 있습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추가 초강세
한편 이런 호재성 소문을 등에 업고 지난주부터 상승세를 타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는 90만원대에 처음 진입하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위탁 생산에 대한 기대감 덕입니다.
14일 코스피 시장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날보다 무려 8만2000원(9.47%) 급등한 94만8000원에 마감했습니다. 지난해 12월 7일 기록한 최고가(종가 기준 88만원)를 5개월 만에 갈아치운 것입니다. 지난 6일부터 7거래일 연속 상승, 이 기간 주가는 무려 24%나 치솟았습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시가총액 3위 등극
시가가 뛰자 시가총액은 62조7244억원으로 하루 만에 5조4000억원가량이나 급증했습니다. 시총 순위도 LG화학(60조2859억원)을 제치고 코스피 3위로 올라섰습니다. 한편 이날 주가를 끌어올린 것은 외국인이었다. 외국인은 이날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을 273억원어치 순매수했습니다. 기관 투자가도 71억원가량 사들이며 힘을 보탰습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316억원가량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가 가파르게 뛴 것은 역시 이 회사가 미국 제약사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위탁 생산할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었다. 이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런 소문에 대해 "현재 확정된 바 없어 확인이 불가하다"며 "추후 확인이 가능한 시점 또는 1개월 이내에 재공시하겠다"고 밝히며 더욱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는것입니다.
반응형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