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폐경나이 한국 여성의 경우에 현재 기준으로 얼마나 될까요? 

중년에 들어서게 되면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폐경기에 접어들면서 신체의 급격한 변화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됩니다.

 

이럴때 통상적인 현재 한국여성의 평균 폐경나이를 정확히 알고 있으면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해질 것입니다.

출처 세계비즈

 

1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 박상신 교수팀이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0세 이상 자연 폐경 여성 4485명의 자연 폐경 나이 등을 조사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연구 결과(자연 폐경 연령과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유병률의 관계)는 대한보건협회가 내는 학술지 <대한보건연구> 최근호에 실렸는데요.

 

 ■ 한국 여성평균 폐경나이 49.9세 

연구결과 여성의 평균 자연 폐경 나이는 49.9세였습니다.

박 교수팀은 여성을 자연 폐경 나이에 따라 40∼44세 그룹, 45∼49세 그룹, 50∼54세 그룹, 55세 이상 그룹 등 총 네 그룹으로 분류했습니다.

 

■ 비만일수록 폐경나이 증가 

그런데 개인적인 자연 폐경 나이대의 높고 낮음은 여성의 비만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습니다.

 

즉 자연 폐경 나이가 보통이 아니고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그룹의 경우 비만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비만의 척도'인 체질량 지수(BMI)가 높을수록 자연 폐경 나이도 증가했습니다.

 

자연 폐경 나이가 55세 이상인 그룹의 비만율(BMI 25 이상)은 43.5%로, 45∼49세 그룹(33.0%), 50∼54세 그룹(35.8%)보다 높았습니다. 자연 폐경 나이가 40∼44세인 그룹의 비만율은 40.5%였습니다.

 

출처 조선일보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기존 메타 분석(meta analysis, 수년간에 걸쳐 이뤄진 여러 연구결과를 모아 재분석) 연구에서도 과체중 또는 비만한 여성의 자연 폐경 나이가 많았다"며 "여성호르몬은 난소에서 주로 분비되지만, 비만한 여성의 지방조직에서 합성된 에스트라디올이 여성호르몬의 역할을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연구에선 우리나라 여성의 자연 폐경 연령과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유병률의 상관성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출처 코메디닷컴

■ 폐경과 유병률과의 상관성 확인않됨

그러나 20세 이전에 당뇨병 진단을 받은 여성의 폐경 나이는 낮았고, 50세 이후에 당뇨병에 걸린 여성의 폐경 나이가 많았습니다. 1형(소아형) 당뇨병 환자는 낮은 폐경 나이, 2형(성인형) 당뇨병 환자는 높은 폐경 나이를 나타냈습니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이른 폐경을 유도한다고 알려진 저체중·흡연 문제를 해소해 조기 폐경을 예방하면 여성호르몬의 혈관보호 효과를 더 길게 누릴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