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당 야당에 염증을 느끼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느것일까요??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허경영 후보가 무려 52,107표를 얻어 당당하게 3위에 올랐습니다. 이번에 얻은 52,107 표는 이분이 지금까지 선거에 후보로 나서면서 얻은 가장 큰 득표입니다.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허경영 국가혁명당 후보가 1%대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습니다. 허 후보는 정의당이 빠진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군소후보로 득표율 1%대를 기록한 유일한 인물이 됐습니다.

오늘 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허경영 후보는 총 5만2107표를 얻어 1.07% 득표율로 오세훈·박영선 후보의 뒤를 이었습니다다.

 

 

출처 연합뉴스

허 후보는 지난 1997년 15대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로 출마해 0.15%, 2007년 17대 대선에서 경제공화당 후보로 0.4% 득표율을 기록했었습니다.

허 후보의 인지도는 군소 후보 중에서 독보적이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 그는 미혼자에 매월 연애수당 20만원 지급하는 연애 공영제와 결혼·주택자금 1억5000만원 지급, 출산수당 3000만원 등 파격적인 공약을 내놓았습니다.

 

출처 조선일보

그는 지난달 방송 토론회에서는 "코로나19로 피해를 봤든 안 봤든 5000만원을 현금 배당할 것"이라고 밝혀 이목을 끌었습니다.

허 후보의 이같은 선전은 정권 심판론이 드셌던 이번 선거에서 정의당·국민의당 등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서 나왔다는 분석입니다. 별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인지도가 높은 허 후보로 표심이 몰렸다는 것입니다.

 

한편, 허 후보는 지난 2009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10년간 피선거권이 박탈돼 18·19대 대선에는 출마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4·15총선에서는 국가혁명배당금당 비례대표로 나선 바 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