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인빗 잡코인 퇴출 공지가 나왔습니다.

 

퇴출한다면 유예기간을 충분히 주고 모두가 볼수 있는 아침시간에 공지를 띄워주면 되는데 왜 저녁 늦은시간에 이런 공지를 띄우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아무튼 가상화폐 시장에서 이제는 몸을 낮추고 소나기는 피해야 합니다.

 

쓸데없는 고집으로 잡코인에 저가매수를 노리다가는 큰 화를 불러올수 일으킬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부가 지난달 가상통화 시장 관리 방침을 밝힌 후 가상통화 거래소들이 계속해서 코인을 잇따라 상장폐지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 말 가상통화 거래소 사업자 신고를 앞두고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실 코인, 이른바 ‘잡코인 구조조정’에 나선 것으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상장폐지 이유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투자자들의 혼란도 커지고 있습니다.

 

 

거래대금 규모 국내 3위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빗아 지난 15일 오후 10시2분 홈페이지에 ‘가상자산 거래 지원 관련 안내’ 공지를 통해 렉스, 이오, 판테온, 유피 등 코인 8종에 대한 거래 지원 종료(상장폐지)와 28종에 대한 유의종목 지정 사실을 알렸습니다.

 

< 거래 지원 종표 (상장폐지) 대상>

 

< 유의종목 대상>

 

 

이에따라 이들 코인 가격은 최대 80%까지 폭락했습니다. 코인 대부분이 다른 거래소에서 거래가 불가능한 '잡코인'이라 옮겨서 팔 수도 없습니다.

상장폐지가 결정된 8종은 오는 23일부터 거래 지원이 중단되고,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28종도 23일 최종 심사를 거쳐 대부분 상장폐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코인빗은 “내부 거래 지원 심사 기준에 충족되지 않았다”고만 밝혔다. 코인빗에 상장된 코인 70종 가운데 무려 절반 (36종)이 한꺼번에 ‘부실’ 판정을 받고 정리되는 셈입니다.

 

 

부실 코인 심사 및 상장폐지는 거래소의 일상적 행위입니다. 그러나 이를 심야에 기습적으로 공지한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오는 9월 가상통화 거래소 신고를 앞두고 무리수를 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

 

개정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에 따라 가상통화 거래소는 시중은행과 고객 실명확인 계좌 발급 계약을 맺고 9월24일까지 당국에 신고를 마쳐야만 정상 영업이 가능합니다.

 

한 가상통화 거래소 관계자는 “신고서를 제출할 때 보유 코인 목록과 상장 기준 등을 내야 하는데 문제가 될 만한 코인을 미리 정리하는 것”이라면서 “등락이 심한 코인을 중심으로 거래소들이 몸집 줄이기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실명계좌 계약을 맺은 거래소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 불과 4곳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잡코인’이 많을수록 은행으로부터 낮은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상통화 거래소들이 부실 코인을 솎아내려는 움직임은 지난달 28일 정부가 가상통화 시장 관리 방안을 발표한 이후 늘어나는 분위기입니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의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받은 거래소 20곳 가운데 5월 말 이후 9곳이 상장폐지 관련 공지를 했습니다.

 

 

빗썸은 지난달 28일 코인 1종을 상장폐지하고 2종을 유의종목으로 지정했습니다. 그리고 프로비트는 지난 1일 무려 145종의 코인을 퇴출했습니다.

 

 

지난 11일에는 국내에서 가장 큰 가상통화 거래소인 업비트가 마로, 페이코인, 옵저버 등 코인 5종을 상장페지하고 25종을 유의종목으로 지정했습니다.

 

 

업비트, 잡코인 퇴출 시작

업비트 잡코인 퇴출 을 시작했고 퇴출코인에는 다날코인 포함 되었습니다. 이제 가상화폐투자는 조심스러울 필요가 있으며 특히 잡코인 그중에서도 한국에서 발행한 김치코인 같은경우에는 속

happyday10.com

 

최근 금융당국이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것도 ‘잡코인 구조조정’에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4일 거래소에 상장폐지 및 유의종목 지정 코인 목록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부실 코인을 정리하는 것은 시장 안정 차원에서 필요한 일이지만 투자자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 센터장은 “정부가 분명한 기준을 주지 않아 거래소들이 자체 기준으로 무리하게 코인을 정리하면서 아무런 피해보상 대책도 없이 투자자들의 혼란만 커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